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750
- 카메라
- Nikon
- 18-35mm
- 85mm f/1.8G
- af-s 18-35
- AF-S NIKKOR 18-35mm f/3.5-4.5G ED
- 50mm
- 하늘풍경
- 출사
- AF-S NIKKOR 50mm f/1.8G
- AF-S 18-35mm
- 경치
- spring
- 꽃
- camera
- 여름성경학교
- Photo
- 니콘
- AF-S NIKKOR 85mm f/1.8G
- 사진
- 푸른초장교회
- 일상
- 85mm 1.8g
- daily
- 50mm f/1.8G
- 풍경
- 푸초
- 렌즈
- nikkor
- Today
- Total
목록개발공부 이야기(New) (21)
병갈이 블록
연관관계 설정 뒤 Repository까지 수정을 마치고 ServiceTest 클래스의 테스트 코드를 검증 하는 도중 만난 오류이다. 우선 오류 내용은 아래와 같다. Argument(s) are different! Wanted: deleteHistoryService.saveAll( java.util.Arrays$ArrayList@d3c52ba7 ); -> at qna.service.QnaServiceTest.verifyDeleteHistories(QnaServiceTest.java:95) Actual invocations have different arguments: deleteHistoryService.saveAll( [DeleteHistory{id=null, contentType=QUESTION, co..
1주일간 거의 새벽 2시 반 ~ 4시에 자고 아침에 출근을 반복 했더니 오늘 점심시간까지 기절을 해버렸다. 원래 일정은 일찍 일어나서 빨래와 집안 정리를 하고 스터디로 가는 일정이었으나 30분 전에 급하게 일어나서 씻고 바로 스터디 장소로 이동했다. 2주차도 동일하게 페어 프로그래밍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오늘은 총 4명이 참석해서 2명씩 나누어 진행하였고, 지난주와는 다른 파트너와 함께 하였다. 이번 주 주제는 [인수테스트 실습 : 1단계 - 지하철 노선 관리]이다. 처음에는 ATDD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그래도 함께 참석한 분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이해하는데 도움을 많이 받았고 미션을 진행하면서 자세한 감을 잡기로 했다. 오늘의 진행은 인수 테스트 단위로 순서를 돌아가기로 했다. 진행 과정을..

초기 설정 순서.(Mac 기준) 1. PC에 DB 설정 파일을 생성한다. 2. JDBC URL을 에플리케이션에서 접근할 수 있는 주소로 수정한다. ** 초기설정 진행 1. h2 설치폴더 아래 bin 폴더 아래 h2.sh파일을 실행한다. - ..../h2/bin/h2.sh 2. 그러면 브라우저를 통해서 콘솔이 실행된다. (브라우저에서 콘솔이 나오지 않을 경우 브라우저에서 보이는 ip 주소를 localhost로 바꾸어 보자) 3. JDBC URL이 "jdbc:h2:~/{스키마}" 형식으로 세팅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 스키마 명을 수정하고 [연결]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pc에 ~/{스키마}.mv.db 형식의 파일이 생성된다. 4. 이후 콘솔에서 JDBC URL을 "jdbc:h2:tcp://localhost/~..
배치 이력, 로그 조회 사이트를 만들려고 한다.(추후에는 배치 스케줄도 관리하는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할 계획) 사이트 서버는 NAS 안에 Dokcer에 설치된 Ubuntu에 올려야 하고, 실제 배치 프로그램 및 로그, crontab파일은 NAS에 설치된 Linux에 존재한다. 아.....그러니까 NAS에 설치된 Docker 안에 설치된 Ubuntu에서 위에위에 존재하는 NAS파일에 접근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음.....이걸 어떻게 처리해야하나 고민을 좀 했는데, 이왕 이런 환경인거 NAS에 있는 배치관련 파일에 접근해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간단한 API를 Node.js로 NAS에 만들어 두고 Ubuntu안에 톰캣에서 API통신으로 필요한 정보를 받아오는걸로 하기로 했다. 차라리 파일접근 API와 서비스..

오늘의 작업. 프로그램 개선. 쉘 실행환경 설정 1. 프로그램 개선작업 진행. - 어떠한 문제로 파일 목록에 포함되어 프로그램이 읽었으나 .exists() 실행 시 false가 떨어지는 파일들이 존재했다. 이에 대한 예외사항 추가 진행. - 이미지 확장자 추가. iPhone Raw 이미지파일 확장자 DNG 추가. - 프로그램 처리 시 로그 추가. 2. 쉘 실행환경 설정 터미널에서 쉘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java를 실행하여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그런데 crontab으로 실행될 때만 꼭 java: command not found 에러가 발생을 한다. 동일한 쉘 스크립트를 수행했는데 왜 java를 인식하지 못할까? 구글링을 좀 해보니 crontab은 PATH를 스케줄 설정 파일 내에 별도로 두고 있..

오늘의 작업. NAS 환경셋팅.(JAVA 설치 및 환경설정, 폴더 및 파일권한 설정 등) crontab 설정. jar파일 배포 및 정식 운영 전 실행 테스트. 1. NAS 환경셋팅. docker에 우분투를 설치하면서 java와 tomcat을 설치했었지만, NAS에 직접 설치를 진행해 본 적이 없었다. 일단, yum, apt-get, brew, rpm 등등...패키지 매니저가 없었기에 직접 파일을 wget을 통해서 다운받고, gzip을 통해서 .tar파일로 만들고 tar를 통해서 설치를 진행한다. 다운로드URL은 계속 바뀐다. 다운로드 클릭하고 오라클에 로그인을 하면 파일이 다운로드가 되는데 chrome 개발자도구를 통해서 Network를 확인해보면 잠깐 유효한 URL이 확인 가능하다. 그 URL을 통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