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F-S NIKKOR 85mm f/1.8G
- daily
- 니콘
- 85mm 1.8g
- 렌즈
- 풍경
- 출사
- D750
- af-s 18-35
- AF-S 18-35mm
- 85mm f/1.8G
- camera
- 푸른초장교회
- AF-S NIKKOR 18-35mm f/3.5-4.5G ED
- 경치
- 카메라
- 사진
- nikkor
- 푸초
- 18-35mm
- 50mm f/1.8G
- Photo
- 여름성경학교
- 일상
- spring
- AF-S NIKKOR 50mm f/1.8G
- 꽃
- 하늘풍경
- Nikon
- 50mm
- Today
- Total
목록IT(Old) (121)
병갈이 블록
1. 이미지의 경로를 src속성에 추가한다.(경로)2. Rest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이미지 이름을 받아 byte[]데이터를 넘겨받는 링크를 src에 추가한다.(주소) 1. 이미지의 경로를 src속성에 추가하기.- 로컬경로(C:\로 시작하는 하드내부의 어느 장소)를 가진 경로는 보안문제로 img태그로 출력되지 않는다.- IE만 출력해준다. 허나, 요즘 브라우저 환경은 생각해본다면 이런식으로 불러오는데 문제가 있음이 분명하다.해결책.- 프로젝트의 리소스 내부에 폴더를 두고 파일을 위치하게 한다.- 경로를 /resources/로 시작되도록 한다. 그러면 출력된다. - 단, STS에서 보여지는 프로젝트의 경로와 설정에서 알려주는 경로는 차이가 있다.- 외부에 노출되는(설정에서 알려주는) 경로에 리소스를 추가하면,..
많은 부분들을 건너뛰었지만, 같은 포멧을 페이지를 하나는 이클립스로 다이나믹 웹프로젝트로, 하나는 STS로 Spring 프레임워크로 제작에 들어갔다. 일단, 프레임워크 없이 jsp로만 구성할때 문제가 Rest방식의 구현이었다.Rest방식의 구현문제는 첫번째, 통신방법의 구현, 두번째 데이터 송-수신문제였다.get방식은 URI에 값이 포함되어 전송되기에 문제는 없었으나 POST방식이 문제이다.그리고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구현하다보니 URI로 명령을 구분하는 작업을 위한 파싱작업에 들어가는 코드가 늘어난다.데이터 수신문제는 request의 inputstream을 얻어와서 byte배열을 이용하여 String방식으로 가져온다.그리고 기본적으로 JSON형태로 구현되어 있기때문에 Google의 Gson이라는 ..
기본 폼.$.ajax({uri : '요청경로',dataType: '응답데이터타입',data : 전송시 데이터(get은 제외),type: '전송방식',headers : {'헤더이름' : '헤더 값',.......},success: function(result){전송 결과 응답 데이터에 따른 처리.}}) 문제. 분명히 전송데이터는 잘 갔고, 응답데이터도 잘 왔다.근데 위에서 success가 응답이 되지 않는다.원인을 찾다보니 dataType을 json으로 해두었던게 화근이었다.단순히 전송데이터 타입이라 생각했었는데 응답데이터 타입이었다.전송데이터 타입은 헤더에 Content-Type에 application/json으로 입력해준다.
1. DB와 관련된 모듈을 모두 받는다. * mybatis-spring* mybatis* spring-jdbc* log4jdbc-log4j2-jdbc4* mysql-connector-java(MySql)* ojdbc6(Oracle)* commons-dbcp(Oracle) 2. root-context.xml파일 설정** 필요한 namespace 추가.(context, jdbc, mybatis-spring)1. Namespaces탭을 통해서 추가. - 간단히 클릭.2. 직접 추가. 아래 코드를 태그의 속성으로 입력한다.xmlns:context="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xmlns:jdbc="http://www.springframework.org/sch..
단일 값 입력 받을 시 -> prompt('문구', 'text상자 기본문구');Yes, No (bool 값)를 받을 시 -> confirm('문구');일반 알림 창 -> alert('문자');
READ페이지에서 MODIFY페이지로 페이지 전환시, MODIFY페이지에서 수정 완료시 두개다 MODIFY Controller를 거치게 된다.구분 방식은 전송방식이다.읽기 -> 수정 : GET수정 -> 완료 : POST무슨 이유로 인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달, 전달해야 하는 상황이면...커맨드 객체 이용 시 두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 이름을 다르게 해야한다.실습 중에 두 페이지의 이름을 같게 했더니 특히 문자열 데이터에서 중복으로 스크랩하는 현상이 일어난다.즉, 기존 페이지로 넘어와 있던 parameter값과 새로 넘기는 parameter값을 같이 넣는것 같다.그 두 자료를 구분하는 용도로 콤마를 사용하는건가?무튼, 계속 복수의 자료가 ,로 구분되어 들어가고 ,차체가 또 값이 되어 ,로 구분되는 일이..